본문 바로가기
질환

🧾 두통 3대 유형 정리

by 흐약 2025. 8. 21.
반응형

 

앞서서 간단하게 두통에 대해서 정리해 봤습니다만, 조금 더 세분화시켜서 작성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:)

 

※ 작성되어있는 약물의 경우, 병원의 처방이 필요한 경우가 많습니다. 

1️⃣ 근육 긴장성 두통 (Tension-type headache)

정의

가장 흔한 두통. 스트레스, 피로, 수면 부족 등으로 발생.

 

원인

근육 긴장(이 악물기, 나쁜 자세 등) → 지속적 수축

 

증상

압박·조이는 느낌, 띠를 두른 듯 양측성, 오후에 심해짐 비박동성, 구토·오심 없음 진통제 반응 양호

 

진단 기준 (국제두통학회)

- 10회 이상 발생

- 30분~7일 지속

- 비박동성, 양측성, 경도~중등도, 일상생활에 큰 영향 없음

- 구토 없음, 광·음성 공포증 동반 안 됨

 

치료

1. 삽화성: 단순 진통제

2. 만성형: 항우울제를 이용한 예방 혹은 이완요법, 스트레스 관리

 

다행히, 만성화되지 않으면 후유증 없음

 

2️⃣ 편두통 (Migraine)

정의

일측성, 박동성 통증 + 구토, 광·음성 공포증 특징. 젊은 여성 호발.

원인

혈관 확장 → 신경 압박 (혈관 가설)

신경 염증 가설 (혈관작용성 펩타이드 유리 → 염증 반응)

가족력(유전 요인) 있음

증상 (4단계)

전구: 기분 변화, 피로, 식욕 변화 등

전조(Aura): 시각 증상(암점, 섬광암점), 지각 이상, 언어장애

두통: 편측 욱신욱신, 4~72시간, 활동 시 악화, 구토 동반

후구: 피로, 무기력, 집중력 저하

진단

병력·증상으로 진단. 영상검사 대부분 정상.

치료

급성기: 조기 투여 중요. 진통제, 트립탄계열 약물을 사용

예방: β-blocker, CCB, 항우울제, 항경련제 등을 사용

비약물: 유발인자 회피(치즈, 초콜릿, 카페인, 스트레스), 수면 관리

 

생명 위협은 없으나 삶의 질 저하. 나이 들며 완화되기도 함.

 

3️⃣ 군발성 두통 증후군 (Cluster headache syndrome)

정의

특정 기간(6~8주) 집중적으로 나타나는 극심한 일차성 두통. 남성 호발, 주로 20~40대, 하루 수회 발작

원인

불명확. 알코올, 스트레스, 고도 변화가 유발 요인.

증상

갑자기 시작, 편측 안구 주위 심한 통증 (15분~2시간)

눈물, 결막 충혈, 코막힘, 콧물, 눈꺼풀 처짐, 동공 축소 발작 시 초조·안절부절

진단 기준 (국제두통학회)

최소 5회 이상 발작

편측 안구/관자놀이/눈 위 심한 통증 (15–180분)

눈물·충혈·코막힘·부종·발한·안검하수 중 ≥1 동반

발작 빈도 이틀에 1회~하루 8회

치료

급성기: 100% 산소 흡입, Sumatriptan 주사, Ergotamine

예방: 베라파밀(1차), 리튬, 프레드니손 단기요법 등

 


오늘 정리한 자료는 서울아산병원 자료를 공부하며 작성했습니다. 틀린 부분이나 오류 있으면 지적 부탁드립니다. 

반응형

TOP

Designed by 티스토리